본문 바로가기
소소꿀팁

청년마음지원사업 이용 후기

by @@@$% 2023. 4. 14.

청년마음지원사업 이용 후기 

안녕하세요 잘먹잘살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소개해드린 청년마음지원사업을 직접 이용해본 후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더보기

1. 청년마음지원사업 이용 후기 

2. 청년마음지원사업 요약 및 이용방법

3. 청년마음지원사업 연계기관 찾기 

4. 상담센터 방문 후기

 


청년마음지원사업 요약 및 이용방법

지난 시간 포스팅에도 잠깐 소개해드렸었지만, 보건복지부에서는 만19세~34세 청년의 심리정서 회복과 건강 지원을 위하여 청년마음지원사업을 통해 저렴한 비용에 심리상담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부담비 약 10%)

신청 및 문의는 본인이 거주 중인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하여 접수가 가능하고,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시면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 제공되는 바우처로 결제가 가능하고요. 

저는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후 자택에 안내 우편물을 한 통 받았습니다. 해당 우편물에는 구체적으로 청년마음지원사업을 통해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과 연계 기관을 찾는 방법에 대하여 안내가 되어 있었습니다. 

 


청년마음지원사업 연계기관 찾기 

아무 심리상담센터에서나 상담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청년마음지원사업과 연계된 지정 심리상담센터에서 상담이 가능합니다. 우편물을 보니 ‘사회 서비스 전자바우처’사이트에서 연계기관을 찾아보라고 안내가 되어있었습니다. 

그러나 으레 정부 지원사업이 그러하듯 안내 자료가 친절하거나 상세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아 사이트에서 연계기관을 찾는 게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제가 시행착오를 통해 찾은 연계기관 찾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이트 접속 => 회원가입=> 로그인 => '서비스기관'검색=>상단 필터에 내가 사는 '시도/시군구' 입력 =>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 => '제공기관 리스트'에서 기관정보 확인

사이트에 제공되는 기관 정보 역시 상세하지 않고, 센터 홈페이지 주소 등이 기재 되지 않은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일일이 구글링을 통해 센터의 성향과 성격을 알아서 추적해야만 했습니다. 

제가 이용할 센터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골라보았습니다. 

1. 다양한 분야의 성인 심리상담(성인 adhd,우울증, 불안장애 등)경험이 풍부한 상담진으로 구성된 곳 
2. 종교적 색채를 띠지 않는 곳 
3. 시간을 넉넉하게 잡으면 도보로 접근은 가능한 곳 (약 30분 정도)

참고로 정부지원사업으로 연계된 곳이라 그런지 대체로 종교기관(개신교 관련..)과 관련 있거나 종교기관에서 운영하는 곳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고르고 고르고 고민 끝에 제가 고른 상담센터는 ‘같이 심리상담센터’였습니다. 

 


상담센터 방문 후기

사실 저는 어릴 적부터 다 밝히기는 어려우나 이런저런 인생에 굴곡들이 많아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등에 자주 노출되었고, 실제로 일회성이나마 상담받기도 하였습니다. 최근에는 공황장애로 인하여 남모르게 정신과를 내원하며 약을 처방받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성인이 된 이후에 비용을 들여 제 의지로 상담받게 된 것은 처음이라 떨리는 마음으로 방문하였습니다. 

센터는 영등포구청역 인근에 있었으며, 규모가 아주 크지는 않았지만 맞게 3개 정도의 상담실로 구성된 아담한 센터였습니다. 

마음을 안정시키는 차분한 분위기의 BGM이 흘러나와 비 오는 날 헐레벌떡 달려가며 흥분된 제 마음을 가라앉혀주었습니다. 

유년기는 물론 성인이 된 이후에도 직장 등 긴장을 하게 되는 상황에 노출되면 이따금 멍해지거나 집중을 못 하고 산만해지는 경향이 있어 진지하게 성인 ADHD가 아닐까 걱정하며 1차 상담받았습니다. 상담사님께서는 성인 ADHD는 아니고 어릴 적에 노출된 경험에서 받은 부정적인 상처와 감정을 돌파하여 치료하지 못한 상황에서 불안장애가 발현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것들을 상담받았는데 어설프게 일반인들이 조언 또는 충고랍시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보다 시간을 들여 한 번이라도 전문가의 어드바이스를 명쾌하게 받는 것이 훨씬 심리치료에 도움이 되는 이유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청년마음지원사업 향후 이용 계획 

MMPI 검사 등 질문지를 통한 추가 심리검사를 숙제로 내주셨습니다. 꽤 분량이 방대하여 작성하는데 시일이 걸릴 것 같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저는 얇고 넓게 이런저런 심리치료를 경험하였습니다. 그러나 더 치료를 받고 싶어도 1회 통원 당 평균 돈 10만원이 넘는 상담비의 문턱에 좌절하여 이내 치료를 포기하였습니다. 청년마음지원사업은 이러한 문턱을 넘을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심리치료에 있어 정신과 등을 통한 약물 처방 등 물리적 요법과 상담 치료는 어느하나 떼려야 뗄 수 없이 중요한 치료 방법 입니다. 완치라는 지붕을 얹기 위한 두 개의 기둥인 셈입니다. 기둥 하나가 무너지면 당연히 지붕을 얹을 수 없듯, 약물과 상담 치료 두 개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완치가 어려워 지지요. 

만 19세~34세에 해당되는 분들이라면 소득이나 기타 조건과 관계없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복지제도이니 청년 여러분들 모두 평소에 상담에 관심이 있으셨다면 놓치지 말고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지난 청년마음지원사업 소개 포스팅 바로가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