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내일저축 계좌를 놓쳤다면 주목해야할 통장
안녕하세요 잘먹잘살입니다. 최근 국가에서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하여 많은 지원사업을 선보이고 있네요. 지난번에 소개해드렸던 청년내일저축계좌도 자산형성을 위한 지원사업의 일부 입니다.
이번시간에는 곧 다가올 2023년 6월에 모집하는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에 대하여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1.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소개
2. 이용중인 요금제 소개
3. 통신사 장점
4. 통신사 단점
5. 요약 및 여담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소개
『희망두배 청년통장』사업은 서울시 거주 일하는 청년이 월 10만원 또는 15만원을 2년 또는 3년간 저축하면, 본인 저축액과 동일한 금액을 서울시와 시민의 후원금으로 적립·지원해주는 자산형성 지원사업입니다.
사회 초년생들의 초기 자산형성을 탄탄히 형성하여 향후 본격적인 사회활동에 디딤돌이 되어주는것이 해당 사업을 운영하는 목적이지요.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의 혜택과 이점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으로 얻을 수 있는 혜택은 다른 자산형성 지원사업 통장으로 얻을 수 있는 혜택과 유사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혜택이 유사하고 어떤 혜택이 희망두배 청년통장만의 특별한 점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유사점 : 100%에 달하는 파격적인 이자 지원 혜택
이 부분은 청년내일저축계좌에서 제공되는 혜택과도 유사한데, 받을수 있는 지원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부 지원액은 내가 내는 금액에 100%의 액수로 매칭이 됩니다. 따라서 매달 10만원씩 불입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받을 수 있습니다.
월 10만원 2년형 불입 예시)
-원금 : 10만원 *24개월 + 정부지원금10만원 *24개월 = 수령액 480만원(이율 환산시 100% 혜택)
차별점 : 2년vs 3년 중 나의 상황에 맞는 불입기간 선택
앞서 소개해드렸던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경우 선택의 여지 없이 무조건 3년동안 쉬지않고 의무적으로 불입해야 했습니다. 선택의 여지 없이 일방적으로 제안받는 기간동안 불입해야 하는 건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점이기도 합니다.
시중 금융상품을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아무리 쉬지않고 저축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때그때 다르게 쏟아져나오는 금융상품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 6개월 ~1년의 단기적금으로 혜택을 누리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런 걸 생각해보면 3년이란 불입기간은 다소 길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저는 약 6년간 카카오뱅크 적금을 이용중이지만 장기간 묶여있는 것이 아니라 1년단위로 계약후 갱신하여 사용하기에 가능한일이었습니다.
허나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2년짜리와 3년짜리 중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점이 참 매력적으로 느껴졌습니다.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자격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서울시민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점이 근로복지부에서 운영하는 청년내일계좌와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서울시 거주의 기준은 본인의 주소등록지가 기준으로, 재외국민은 신청이 불가능한점 또한 체크하셔야 합니다.
공통된 자격은 청년을 대상으로 한 사업이기때문에 만 34세까지의 청년까지만 혜택이 제공됩니다.
자격요건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고일 현재(’23. 5. 22.) 다음 ① ∼ ⑤를 충족해야만 함
① 서울시 거주자 ※ 주민등록번호 부여자만 신청 가능(재외국인 신청 불가)
② 만 18세 ~ 만 34세 청년
※ 출생년월일이 1988. 1. 1. ~ 2005. 12. 31.인 자
③ 근로 중 또는 공고일 이전 1년간(2022. 5. 22. ~ 2023. 5. 21.) 3개월 이상* 근로이력이 있는 자
※ 근로 종류 무관하나, 증빙서류 제출 가능해야 함
* 참여자가 매칭지원액을 지급받기 위한 지원요건(약정기간의 50% 이상 근로 유지)과 구분되며, 월 기준 10일 이상 근로한 경우 1개월로 인정
④ 본인 소득이 세전 월평균 255만원 이하인 자
※ 2022. 6. 1. ~ 2023. 5. 31. 소득 기준
⑤ 부양의무자(부·모, 결혼한 경우 배우자) 소득 연 1억원 미만이고 재산 9억원 미만인 자
※ 세대분리 여부 무관하게 부·모 합산, 배우자가 있는 경우는 부모와 별도 적용, 2022. 6. 1. ~ 2023. 5. 31. 소득 기준
아래의 링크에서 서울시 자산형성 지원사업 홈페이지에서 모의 참가자격 확인도 가능하니 신청 전에 필히 해보시길 바랍니다.
👇👇모의 참가자격 확인 바로가기
https://account.welfare.seoul.kr/web/contents/youthBankCheck.lp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시 주의할 점
1. 중복수급이 안되는 사업의 혜택을 받고 있나 체크할것
- 기존에 나라에서 수급중인 지원사업이 있다면 체크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실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오히려 중복으로 수급이 인정되는 사업도 있고 아닌 사업도 있습니다. 세부 내용은 아래의 표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서울시 청년수당 사업은 자산형성을 위한 지원이 아니기때문에 중복수급이 가능합니다.
2. 구비 서류는 사전에 미리 꼼꼼하게 챙겨놓을 것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제출서류는 주어진 서식이 뚜렷하고, 구비 서류의 제한조건도 세세하고 명확합니다. 왠만하면 주어진 서류는 조금이라도 해당되는 것 같다면 빠트리지 말고 최선을 다해 준비해서 제출하는걸 추천합니다.
3.신청제외 요건은 반드시 챙겨볼것
- 하나라도 해당될 시 무조건 탈락의 사유가 됩니다. 신청후 선정이 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자산형성사업의 경우 준비해야할 서류들이 세세하고 빼곡한만큼 시간이 투자되야 하지 때문에 만에 하나라도 해당이 되면 빨리 다른 나도 선정 요건에 해당될 수 있는 지원사업을 찾아보시는걸 권장합니다.
그 외 정보
준비할 신청서류가 많고 복잡하여 어려움을 겪으실 예비 지원자 분들을 위한 안내 설명회 유튜브 라이브가 준비되어 있다고 합니다. 내일 6월 1일 서울시 복지재단 TV 유튜브로 확인 가능하니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꼭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서울시 복지재단 TV 유튜브 라이브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watch?v=NBeRtHKRNkc
'돈아끼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테크 특집3.- 패널파워(추천인아이디 : h900613) (0) | 2023.06.27 |
---|---|
알뜰폰 요금제 이용후기 - 아이즈모바일(실제 이용후기+비추천 사유 소개) (0) | 2023.05.25 |
5월 31일 마감 근로장려금 신청 홈택스로 끝내기 (0) | 2023.05.15 |
5월 발행 농할상품권 살펴보기 (0) | 2023.05.08 |
2023년 SH 장기 미임대 매입임대주택 수시 1차 입주자 모집 주택 탐사 후기 (0) | 2023.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