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없이 드라이브 없이 서울시내에서 폭포즐기기
안녕하세요 잘먹잘살입니다. 6월 현충일 연휴에 맞추어 산으로 들로 많은 분이 휴가를 떠나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게 비슷해서인지 연휴 철에 잘못 걸리면 차도 너무 막히고 가서 놀고먹는 비용도 바가지 씌우기 딱 좋은 구조이지요. 그래서 오늘은 먼 곳으로 나가지 않아도 저렴한 비용으로 도심 속에서 자연을 즐길 수 있는 ‘카페 폭포’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1. 카페폭포 소개
2. 카페폭포 가는방법
3. 카페폭포 공간 살펴보기
4. 카페폭포 즐기는 법
카페폭포 소개

카페폭포는 서대문구에 위치한 홍제천 인공폭포에 조성한 수변 테라스 카페입니다. 최근 인스타 핫플로 서서히 입소문이 나며 인근 주민들은 물론, 타 지역구 주민들도 찾아와 여유를 즐기는 분위기입니다.
카페폭포가 있던 자리는 원래 주차장과 창고로 사용되던 공간이었습니다. 이 낙후된 공간을 개조하여 커피를 마시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로 변신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개인이 조성한 장소가 아니라 서울시가 주도하여 ‘서울형 수변 감성 도시’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곳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카페폭포 가는방법

카페 폭포는 홍제천 인공폭포 바로 앞에 있습니다. 홍제천 산책로를 통해 걸어가다가 진입하셔도 되고, 신촌이나 홍대입구에서 서대문구청 방면으로 가는 버스나 대중교통을 타고 동신병원 사거리에서 내려서 걸어 들어가셔도 됩니다.
참고로 동신병원은 카페 폭포 바로 앞에 있는 병원입니다.
카페폭포 공간 살펴보기

카페폭포는 크게 음료를 제조하는 실내 공간과, 실내 공간 위에 위치한 루프탑, 별관처럼 조성된 북카페, 바로 눈앞에서 홍제천 인공폭포를 즐길 수 있는 테라스로 크게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야장을 하시려면 루프탑에 올라가는 계단에 앉으셔도 되고, 좌석에 여유가 있다면 의자를 원하는 장소에 가져가 앉으셔도 됩니다.

또한 벤치도 있으니 벤치에 앉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벤치는 항상 인기가 많아 자리가 쉽게 나오지 않으니 이점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카페폭포 즐기는 법

카페폭포만의 차별점은 뭐니 뭐니 해도 정면에서 시원하게 떨어지는 폭포를 직관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실내 카페 공간도 있지만 여유가 된다면 꼭 야장 하시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 서울 시내만 해도 인테리어 예쁜 실내 카페는 매우 수두룩하게 많습니다.
사실 경기도나 강원도 등 서울 근교로 나가지 않으면 눈 바로 앞에서 폭포나 자연환경을 즐길 수 있는 카페는 많지 않습니다. 일부 산에 있는 산장이나 카페가 있다고 해도 따로 시간을 들여 힘들게 산을 타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카페폭포는 서울 시내에서, 그것도 평지에서 대중교통으로 도보로 갈 수 있는 거리 내에 있다는게 최고 장점입니다.
또한 일반 개인 카페나 민간카페처럼 반드시 실내 공간에서 판매 중인 음료를 구매하실 필요 없이 음료 없이도 앉아계실 수도 있고, 인근 편의점이나 카페에서 자유롭게 저렴한 음료를 구매해와 드셔도 괜찮습니다. 그마저도 힘드시면 개별적으로 집에서 음료를 제조해와서 싸와 드려도 괜찮습니다.
참고로 제가 방문했던 날에는 소나기가 왔는데요, 카페폭포가 위치한 장소 위에는 모래내로 가는 고가가 있어 난간이 있는 근처를 제외하고는 비를 피할 수가 있었습니다. 비가 와도 눈이 와도 그날에 맞는 풍경을 즐길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여담

간단하게 근처 편의점에서 맥주나 한잔하고 끝내려 했는데, 목을 축이고 나니 배가 고파졌습니다. 그래서 주변에 맛집이 없나 찾아보았습니다.
요양병원 근처이지만 폭포와 어울리는 백숙집도 있습니다. 시간상으로 여유가 된다면 버스를 타고 두세정거장 정도만 나가 핫플레이스가 많은 연희,연남동 거리에 방문해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분위기 좋은 힙플도 좋지만 화교들이 많이 사는 동네이기 때문에 취향에 맞는다면 화상에서 중식을 즐기시는 것도 폭포의 여운을 즐기는 방법일 거라 생각합니다.
'소소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래그런스 시트러스 라인 3종 신상 출시 기념 논픽션 팝업스토어 후기 (0) | 2023.06.12 |
---|---|
서울시 청년수당 후속 이용후기(카드발급+자기활동 기록서) (0) | 2023.06.10 |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요건 알아보기(5월 26일 까지) (0) | 2023.05.23 |
피카소와 20세기 거장들 전시회 후기(루드비히 미술관 컬렉션) (0) | 2023.05.19 |
5월 종합소득세 신고, 홈택스로 수수료 없이 끝내기(5월 31일 까지) (0) | 2023.05.12 |
댓글